반응형

1. 물 좋은 나라는 옛말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물이 좋기로 유명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옛말이지요.
국가 경제 발전 때문에 우리는 많은 것을 잃었습니다.
(극소수는 많은 것을 얻었지만요).
  
여하튼 이제 먹을 물을 마시려면, 생수를 사거나 정수기를 사거나 해야 합니다.
저도 그때그때 핫딜이나 세일이 뜨면 싼 거로 사 먹습니다.
물맛에 예민해도 가격 앞에서는 장사 없지요.

그중에 생수 하나 오늘도 측정해 보았습니다.

 

2. 생수 방사능 측정(측정기기 Qsafe104b+, 납차폐함 14mm)

생수배달 정말 빠릅니다. 배달 해주시는 분들께 항상 감사드립니다.

수원지는 울산 언양입니다.
제조일자는 올해 5월입니다.
100g 측정해 보았습니다.
측정시간은 24시간.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수 중에 하나입니다.
혹시 해서 상품명은 초성으로만 올립니다. (ㅅㅍㅋ )

다음은 측정치입니다.
배경측정은 빗물입니다. 
이전에 블로그 하였지요.
https://seven-all.tistory.com/28

 

빗물과 생수 방사능 비교해보았는데요.. ...(방사능 측정)

지난주 7월 21일에 저녁 7시부터 10시까지 내렸던 빗물을 조금 모아보았습니다. 일반적으로 빗물에는 방사능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혹시나 하는 궁금증으로 시작하였습니다. 24시간 동안 집

seven-all.tistory.com


다음은 측정결과입니다.

파란색 : 배경(빗물),   빨간색 : 샘플(생수_ㅅㅍㅋ)

방사선 측정은 확률분포 결과를 측정합니다. 확률분포 95%(2*편차치) 지역에서 겹치지 않으면 샘플에 방사능이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위의 그래프는 매우 겹치네요. 방사능이 없다고 봅니다.

그러니까, 빗물에 비교했을 때에 상대적으로 없다는 것입니다. 
저번에 측정했던 생수 모두 표로 비교해보겠습니다.

빗물 221000 cpm
ㅅㅍㅋ 222000 cpm
ㅋㅋㄹㄷ 226000 cpm

이게 비교 군일뿐이지 절대치로 보면 인체에 영향이 없는 수준입니다.
그러니까 마셔도 아무 지장이 없다는 말이지요.
오히려 방사능보다 지금 제가 잴 수 없는 중금속이라든지 다른 것들이 더 중요할 지 모릅니다.
그럼에도 이렇게 방사선의 차이가 있는 것은,
제가 측정하는 생수는 먹는샘물(지하수)이기 떄문에 토양의 축척된 방사능의 영향일지도 모르겠네요.

3.  결론

정확힌 계측기도 아니고, 완벽한 차폐함도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측정 자료를 얻기 위해 시작한 것입니다.
여기에 올린 것은 혹시 필요한 분들이 있을까해서 올린 것이구요.
위의 자료에 대한 판단은 읽으시는 여러분들께 있습니다..

 

다음 생수는 ㅅㄷㅅ 입니다. 
(저는 ㅅㅍㅋ 주문하러 가보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