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청*정원 가는 소금 재측정

대충 이렇게 포장되어 왔다
22년 8월 생산

주문한 소금의 이력이다. 소금의 이력을 보고 싶으면 포장지 겉면에 QR코드가 있다.

원산지 도용 방지를 위해 꼭 붙이도록 되어있다.

일전에 검사에서 몇가지 오류가 있었다. 
첫번째로는 CPM값에 1000을 안 곱한것.
두번째로는 너무 적은 양(20g)을 12시간 밖에 측정하지 않아서
검출한계치가 너무 높았던 것이었다.

그래서 앞서 검사한 자염과 같이 40g으로 늘려서 시간은 
25시간을 했다. 배경검사도 다시 진행하고 말이다.

 

 

2. 소금 측정 결과 

측정 기기 : Qsafe Beta +
측정 용기 : 납차폐함 14mm

  Total Purse 시간
배경방사능 234000 25 8 32
상품방사능 239000 25 8 22
결과 33.43122  ±  6.5 Bq/Kg의 방사능이 있습니다.

위 검사 결과의 정규분포 파랑(배경), 빨강(상품)

 

                                      있다. 방사능.

내가 가진 측정기기는 핵종은 판별되지 않는다. 이것이 세슘137인지,
아니면 K40(우리가 맨날 먹는 다시마, 미역에 많음)인지 말이다. 
하지만 K40 이건 세슘137이건 방사선물질이고,
일단 우리 몸에 축적되고 방사선이 주는 영향은 같다.
(세포를 파괴하는 일)

그러나 평범한 인간의 삶에서 방사능을 완전히 막을 방법은 없다.
나는 단지 아이에게 조금 더 안전한 식품을 주고 싶어서 측정할 뿐이다.

 

3. 저번 자염과 비교

  상품명 측정치 제조일자
1 *안 자염 40g 48.82 ± 6.64 Bq/Kg 23.05
2 청*원 천일염(가는소금)
40g
33.43  ±  6.5 Bq/Kg 22.08

 

결론:
첫번째, 천일염을 먹여야 겠다.
두번째, 23년 생산 천일염을 검사해보아야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