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주의: 가정집에서 핵종분석이 안되는 기기와 휴대가능한 납차폐함(14mm)를 가지고 간이검사하는 것입니다. 완전한 시설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개인적으로 진행하는 것입니다. **
입질의 추억 블로그 https://slds2.tistory.com/1405  << 먼저 읽어보세요(요약: 집에서  측정은 한계가 명확하다)

 

1. 측정 식품

 

이번에 측정한 것은 **자염입니다.  내돈내산입니다!!!
자염은 천일염과 생산과정이 다릅니다.
자염은 갯벌을 파낸 구덩이 모인 해수를 가져와서 끓이는 방식입니다.
한국의 전통방식이라고 하네요.

###    제조일자 23.05.02 입니다.   ###

소금 특성은 생산지가 전남 신안이 아니라 충남 **입니다.

 

 

2. 측정 결과


측정 소금의 양은 40g입니다.

배경 측정 결과
Total Pulse hh mm ss
218000 23 40 46
샘플 측정 결과
Total Pulse hh mm ss
227000 23 53 36
결과
48.822623 ± 6.646 Bq/Kg의
방사능이 있습니다.



정규분포 파랑(배경)그래프와 빨강(상품)그래프가 2*편차치가 안겹칩니다. 방사능이 존재합니다.

 

사실 측정치만 보면 아니 식빵 이게 뭐야? 할 수 있지만 방사능이라는 것은 어디에나 존재합니다.

생활속 K40 :출처: 국가환경방사능자료관리시스템(CLEAN)-전국 환경방사능 조사보고서(2018년), 해양방사능 조사보고서(2018년)

 

이 사진은 한국 원자력 연구원의 자료입니다. 이건 지금 논쟁이 되기 전에 올린 자료이고
사실 숨기거나 곡해할 여지가 없는  펙트이죠. 

그래서 많이 먹어도 괜찮냐는 아닙니다. 우리가 걱정해야할 것은
폐나 장기나 근육에 축척되어서  반감기 동안 지속적으로 방사선을 내뿜는 입니다. 

수치 자체는  크게 걱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성인 남성 하루 소금 섭치량(나트륨 아님) 대략 9g 정도
이고(측정치는 40g), 섭취시 피폭량을 계산하는 식(세슘137로 가정)에 대입하면
(계산식 >> https://testpage.jp/tool/bq_sv.php?guid=ON)

0.000005733 mSv( 연간 방사선량 한도가 1mSv)  

아주 미비한 정도입니다!!

http://korad.or.kr/webzine/202208/sub2-2.jsp   << 연간 피폭량 안전 기준 근거 

 

청정누리 2021 9+10+11월호 Vol.102

청정누리 2021 9+10+11월호 Vol.102

www.korad.or.kr

 

하지만 먹지 않는 것과 먹는 것은 다른 것입니다.
특히 성장 중인 아이들에게는 보다 방사능을 적게 먹여야 합니다.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수준에서
적게 먹이고 적게 노출시키는 것이 부모의 의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지금 제가 블로그하고 있는 이유고 취지 입니다.

 

3. 개인적인 결론

1) 일단 **자염 측정값 결과는 괜찮아 보입니다.
2) 하지만 방사능이 천일염보다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자염 은 아이에게 안먹이려고 합니다.  

 

이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필요하신 분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